24절기 중 6절기의 의미와 풍속,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고구
곡우 (Grain Rain)

곡우(穀雨)는 우리나라 24절기 중 제6절기이다.
음력 3월 중순경, 양력 4월 20일경은 늦봄에서 초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비와 농작물 생육과 관련이 있다.
오늘은 고구의 의미와 음식, 유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곡우(穀雨)의 뜻

고우(穀雨)는 곡식을 뜻하는 한자 고(穀)와 비를 뜻하는 우(雨)가 합쳐진 말이다.
즉, 곡우란 자라나는 농작물에 비가 내리고 풍작을 위해 수백 개의 곡식을 거름이 되는 때를 의미합니다.
곡식비 중에 내리는 비는 농작물의 건강한 성장과 풍작을 가져온다고 합니다.
옛말에 “비가 마르면 땅이 세 갈래로 말라 버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농부들은 고구에 비가 오면 그해에 농사를 짓는다고 합니다.

곡우(穀雨)의 한국어 의미

곡우는 농업 활동의 중요한 시작인 봄에서 여름으로의 전환을 축하하기 때문에 한국 전통 문화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곡우는 농작물, 특히 한국의 주식인 쌀의 성장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장마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곡식비가 내리는 동안 내리는 비는 논에 꼭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벼의 성장을 촉진하며 풍작을 보장한다고 믿어집니다.
고구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모내기를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데, 이 시기에는 불을 피우면 안 된다고 믿었기 때문에 상갓집에 가는 것을 조심했다고 한다.
따라서 곡우는 한국 농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곡물비의 유래와 풍습

소나기의 전통 풍습은 아주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데, 특히 지리산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소나기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신라시대부터 지리산 고구에서 약수제를 지내며 태평성대를 기원했다고 한다.

다음은 고구와 관련된 풍습이다.

  1. 벼 종자 불림: 곡물 비가 내리는 동안 농부들은 취약하고 연약한 어린 벼를 특별히 돌봅니다. 어린 식물이 건강하고 튼튼하게 자랄 수 있도록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논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는 데 힘을 쏟는다고 합니다.
  2. 기우제: 일부 지역에서는 곡식비가 내리는 동안 비에 대한 감사와 풍작을 기원하기 위해 기우제를 지낸다고 한다. 여기에는 기도를 드리고 기우제를 축하하기 위한 전통 춤 공연은 물론 지역 사찰과 신사에서의 행사가 포함됩니다.
  3. 특별한 음식 먹기: 고구가 좋아하는 음식이 있다. 곡우 때는 보리 싹을 틔운 어린순으로 죽이거나 어린 녹차 잎으로 만든 ‘우전차’가 있다. 또한 곡우 주변에서 먹는 민물장어와 나물이 유명하다. 때린다고 합니다. 또한 곡우가 지나가기 전에 먹은 봄나물, 자작나무 수액이나 자작나무 수액에서 추출한 ‘곡물정’을 찾아서 먹었다고 한다. 곡물우물은 위장병, 신경통, 당뇨병,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4. 수국: 고구에는 수국 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이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아름다운 수국 꽃을 즐기고 섬세한 꽃잎을 감상합니다.

우리나라 24절기 중 제6절기인 곡우(穀雨)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이자 농작물 생육에 중요한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문화적 의미가 크다.
이때 싹을 틔우고 기우제를 지내고 특식을 먹으며 수국을 감상하는 등 다양한 전통 풍습으로 풍년을 기원한다.
고구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의 계절적 변화와 관련된 풍부한 문화유산을 생각할 수 있다.